정보구조도(IA)에 관한 간단한 설명은 예전 서비스 기획 절차의 이해 -2 에서 하였다.
블로그 : 서비스 기획 절차의 이해 -2
서비스 기획 절차의 이해 - 2
서비스 기획서는 화면 설계서만은 아니다.전체적으로 참고한 블로그 :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1: 서비스 기획서 정의와 사용자 분석 알아보기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현업 & 사용자의 요건 분석
w-dud.tistory.com
바로 실습으로 넘어가서, 이번 네이버배송을 예시로 정보구조도를 그려보려고 한다. 정보구조도를 생각해서 직접 그려보는 건 처음이다보니,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서 그릴 예정이다.
[IT] 정보구조 설계(IA),와이어프레임(Wire-frame) 작성법/그리는법
[IT] 정보구조 설계(IA),와이어프레임(Wire-frame) 작성법/그리는법
안녕하세요. 비즈니스 모델을 잘 이해하고, 디자이너 및 개발자에게 동기부여를 잘 하는 PM을 꿈꾸는 수...
blog.naver.com
과정은 아래와 같다.
1. 먼저 서비스들을 텍스트로 나열한다.
2. 분류 후 메뉴 트리를 그린다.
3. 개발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Depth를 나누어 정보구조도 작성.
세부 조율은 GPT를 사용하여 구성을 참고해 만들었다.
세부 조율 방법
1. 전체 콘텐츠 나열 : 전체를 다 보는게 아닌 핵심 흐름을 중심으로
2.기능별 / 목적별 분류(카테고리화) : 사용자 주요 흐름 정의
3. 콘텐츠 유형 / 동작 방식 정리 : 일부만 Deep dive도 가능
1. 전체 콘텐츠 나열
처음에는 네이버 쇼핑 내의 모든 콘텐츠를 세부적으로 나열해보려 했지만, 실제 서비스가 방대하여 모든 항목을 일일이 정리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. "정말 이 모든 걸 다 적어야 할까?" 라는 고민 끝에, 우선 눈에 보이는 주요 흐름과 핵심 기능 위주로 1차 정리를 진행했고, 이후 GPT의 도움을 받아 정보구조화의 2단계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방향으로 조율했다.

2. 기능별/목적별 분류


블로그 방법을 유심히 살펴본 후 분류 해보았다.
이런 느낌이 맞는 걸까..? 감이 잡힐듯 안 잡힌다..
3. 정보구조도
우선 이렇게 정보구조도를 마무리 지었다.
gpt 채점 결과

'서비스 기획 > 개인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비스 역기획] 네이버배송(N배송) (0) | 2025.04.08 |
---|---|
[서비스 공부] 네이버배송(N배송) (0) | 2025.03.31 |
[서비스 역기획] 듀오링고 Duolingo (*수정 버전) (0) | 2025.03.11 |
취준생이 본 서비스 기획자 역량 (0) | 2025.03.07 |